2025-2026 독감 예방접종 무료접종 대상 및 시기 일정 완벽 가이드

썸네일샘플플 001 8

독감 예방접종, 왜 중요할까요?

올겨울 인플루엔자(독감) 예방접종의 중요성이 그 어느 때보다 강조되고 있습니다. 독감은 단순한 감기와 달리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는 호흡기 질환입니다. 특히 폐렴 발생 위험이 최대 100배, 급성 심근경색 위험은 10배, 뇌졸중 위험은 8배까지 증가한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질병관리청은 2025년 9월 22일부터 2026년 4월 30일까지 국가예방접종 지원사업을 시행하고 있으며, 올해는 기존 4가 백신에서 3가 백신으로 전환되었습니다. 이는 B형 야마가타 바이러스가 전 세계적으로 장기간 미검출되고 있는 상황을 반영한 조치입니다.

image 3

2025-2026절기 무료접종 대상자는?

어린이 (생후 6개월~13세)

대상: 2012년 1월 1일 ~ 2025년 8월 31일 출생자

접종 일정

  • 2회 접종 대상 어린이: 2025년 9월 22일부터
  • 1회 접종 대상 어린이: 2025년 9월 29일부터

2회 접종이 필요한 경우

  • 인플루엔자 백신을 처음 접종하는 경우
  • 과거 접종 이력을 모르는 경우
  • 2025년 6월 30일까지 총 1회만 접종한 경우

2회 접종 시에는 최소 4주 간격을 두고 맞아야 하며, 미시간대학교 연구에 따르면 생애 첫 접종 어린이가 2회 접종을 받을 경우 예방 효과가 약 2배 증가한다고 합니다.

임신부 (임신 주수 무관)

대상: 임신 중인 모든 여성

접종 일정: 2025년 9월 29일부터

준비 서류: 산모수첩 또는 임신확인서

임신부 인플루엔자 백신 접종은 WHO를 비롯한 전 세계 국가들이 권장하고 있으며, 수백만 명의 임신부가 안전하게 접종받았습니다. 유산, 조산, 저체중 출생 등 합병증과의 관련성은 매우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65세 이상 어르신

대상: 1960년 12월 31일 이전 출생자

연령별 접종 시작일

  • 75세 이상 (1950년 12월 31일 이전): 10월 15일부터
  • 70~74세 (1951년 1월 1일~1955년 12월 31일): 10월 22일부터
  • 65~69세 (1956년 1월 1일~1960년 12월 31일): 10월 29일부터

어르신의 경우 코로나19 백신과 동시 접종이 가능하며, 오히려 동시 접종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단, 각각 다른 부위에 접종해야 합니다.

접종 가능 장소 확인하는 방법

전국 위탁의료기관 및 보건소(보건지소, 보건진료소)에서 무료 접종이 가능합니다. 주소지와 관계없이 전국 어디서나 접종받을 수 있습니다.

접종 기관 찾기

  1. 예방접종도우미 홈페이지 접속
  2. ‘예방접종관리’ → ‘지정의료기관 찾기’ 클릭
  3. 지역 및 백신 종류 선택
  4. 의료기관별 백신 보유 현황 및 운영시간 확인

예방접종도우미 홈페이지 바로가기

⚠️ 반드시 방문 전 해당 의료기관에 인플루엔자 백신 접종 가능 여부를 전화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올해부터는 접종 시 신분증을 반드시 지참해야 합니다.

독감 예방접종 부작용과 대처법

독감 예방접종 후 나타날 수 있는 이상반응은 대부분 경미하며 48시간 이내에 자연스럽게 사라집니다.

흔한 부작용 (접종자의 15~20%)

접종 부위 국소 반응

  • 주사 맞은 곳의 통증, 발적, 부종
  • 면역체계가 항체를 만드는 자연스러운 과정
  • 대부분 1~2일 내 호전

전신 반응 (약 1%)

  • 발열, 두통, 근육통, 피로감
  • 접종 후 6~12시간 이내 발생
  • 1~2일간 지속 후 호전

매우 드문 부작용

20251021 203240

길랑-바레 증후군

  • 발생률: 100만 명당 1~2명
  • 근육 약화 또는 마비 증상
  • 갑작스러운 다리 힘 약화, 호흡 곤란 시 즉시 병원 방문 필요

아나필락시스 쇼크

  • 백신 성분에 대한 급성 알레르기 반응
  • 대부분 접종 후 15~30분 이내 발생
  • 접종 기관에 에피네프린 구비되어 즉시 응급처치 가능

예방접종 전후 꼭 지켜야 할 주의사항

접종 전 준비사항

✅ 건강 상태가 좋은 날 방문하기
✅ 아픈 증상이나 만성질환 있으면 의사와 상담
✅ 예방접종도우미 앱에서 접종 가능 기관 사전 확인
✅ 신분증 필수 지참 (올해부터 의무화)
✅ 어린이는 모자보건수첩 지참
✅ 접종 전날 목욕하고 깨끗한 옷 입기

접종 후 주의사항

✅ 접종 후 20~30분간 의료기관에서 대기하며 이상반응 관찰
✅ 귀가 후 최소 3시간 이상 주의 깊게 관찰
✅ 접종 당일과 다음날은 과격한 운동 자제
✅ 접종 부위 청결하게 유지
✅ 발적이나 부종 발생 시 찬 물수건으로 냉찜질
✅ 접종 당일은 반나절 이상 충분히 휴식
✅ 접종 후 2~3일간 음주 금지
✅ 고열이나 경련 등 심한 증상 발생 시 즉시 의사 진료

유료 접종은 언제 받을 수 있나요?

만 14~64세 성인 중 무료접종 대상이 아닌 경우에도 전국 의료기관에서 유료 접종이 가능합니다. 접종 비용은 병원마다 다르지만, 대체로 2만 원~4만 원 수준입니다.

고위험군은 우선 접종 권장

  • 만성 폐질환, 심혈관 질환자
  • 당뇨병, 신장 질환자
  • 면역저하자
  • 아스피린 복용 중인 6개월~18세 소아청소년

최근에는 고위험군을 위한 고면역원성 백신도 출시되어 선택의 폭이 넓어졌습니다.

20251021 203556

독감 vs 감기, 어떻게 다를까?

많은 분들이 독감을 심한 감기로 오해하지만, 둘은 전혀 다른 질환입니다.

감기

  • 다양한 바이러스가 원인
  • 증상이 경미하고 점진적으로 발생
  • 대부분 1주일 내 자연 회복
  • 합병증 드뭄

독감(인플루엔자)

  •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원인
  • 갑작스럽게 고열(38도 이상) 발생
  • 심한 근육통, 두통, 기침 동반
  • 폐렴, 심혈관 질환 등 심각한 합병증 가능

독감으로 진단받은 경우 해열 후 24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등교·등원·출근을 자제하고 집에서 휴식을 취해야 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 (FAQ)

Q. 작년에 맞았는데 올해도 꼭 맞아야 하나요?
A. 네, 독감 바이러스는 돌연변이가 잦아 매년 유행 예측에 따라 새로운 백신이 제조됩니다. 예방 효과도 약 5개월 정도만 지속되므로 매년 접종이 필요합니다.

Q. 접종 후 언제부터 효과가 있나요?
A. 접종 후 2주 이내에 항체가 생성되기 시작하며, 4주가 되면 최고치에 달합니다. 따라서 독감 유행 전인 10~11월에 접종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Q. 계란 알레르기가 있어도 접종 가능한가요?
A. 계란 성분이 포함된 백신도 있으므로 반드시 의사와 상담 후 접종해야 합니다. 심한 알레르기가 있는 경우 보건소에서 특수 백신으로 접종 가능합니다.

Q. 임신 중인데 태아에게 안전한가요?
A. 전 세계적으로 수백만 명의 임신부가 안전하게 접종받았으며, 오히려 임신부는 독감 고위험군이므로 접종을 적극 권장합니다.

예방접종도우미 홈페이지 바로가기

마치며며

독감 예방접종은 본인뿐만 아니라 가족과 지역사회를 보호하는 중요한 공중보건 활동입니다. 특히 어린이, 임신부, 어르신 등 고위험군은 반드시 접종받으시기 바랍니다.

올겨울 건강하게 보내기 위해 예방접종과 함께 손 씻기, 마스크 착용 등 개인위생 수칙도 철저히 지켜주세요!


📌 정보 업데이트: 본 내용은 2025년 10월 기준 질병관리청 공식 발표를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최신 정보는 예방접종도우미(https://nip.kdca.go.kr)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